맞춤법 검사기 활용법
위 버튼을 클릭하시면 해당 페이지로 이동합니다.
네이버 맞춤법 검사기
네이버 맞춤법 검사기는 별도의 프로그램 설치 없이 사용할 수 있어 간편합니다.
다음은 사용 방법입니다.
- 네이버에서 검색: 네이버 검색창에 ‘네이버 맞춤법 검사기’를 입력합니다.
- 단어 또는 문장 입력: 검사기를 열고, 검사하고 싶은 단어나 문장을 입력합니다.
- 초안 복사 및 붙여넣기: 작성해 놓은 초안을 그대로 Ctrl + C(복사)하여 검사기 입력란에 Ctrl + V(붙여넣기) 합니다.
- 검사하기 클릭: 검사하기 버튼을 클릭하면 맞춤법 오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장점: 설치 없이 바로 사용 가능
단점: 한 번에 최대 300자까지 검토 가능
구글 맞춤법 검사기
구글 맞춤법 검사기는 Chrome 웹 스토어의 확장 프로그램을 통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.
사용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Chrome 웹 스토어로 이동: Chrome 브라우저를 열고 웹 스토어로 이동합니다.
- 맞춤법 검사기 설치: 검색창에 ‘한국어 맞춤법 검사기’를 입력하고 확장 프로그램을 설치합니다.
- 텍스트 드래그: 웹사이트 내에서 한글 문법, 띄어쓰기가 맞는지 확인하고 싶은 부분을 드래그하여 선택합니다.
- 맞춤법 검사 실행: 드래그한 텍스트에 대해 맞춤법 검사를 실행합니다.
장점: 웹 브라우저 내에서 간편하게 사용 가능
단점: 확장 프로그램 설치 필요
국립국어원 맞춤법 검사기
국립국어원(우리말 배움터)에서 제공하는 맞춤법 검사기는 공신력 있는 검사기입니다.
사용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국립국어원 사이트 접속: 국립국어원 우리말 배움터 웹사이트에 접속합니다.
- 맞춤법 검사기 선택: 맞춤법 검사기 메뉴를 선택합니다.
- 문서 입력: 검사하고 싶은 문서를 입력하거나 복사하여 붙여넣습니다.
- 검사 실행: 검사 버튼을 클릭하면 맞춤법 오류뿐만 아니라 틀린 이유와 예시도 함께 확인할 수 있습니다.
장점: 공신력 있는 기관의 검사기, 상세한 설명 제공
단점: 웹사이트 방문 필요
부산대 맞춤법 검사기
부산대학교 인공지능연구실과 나라인포테크가 함께 개발한 맞춤법 검사기입니다.
비상업적 용도로 개인이나 학생은 무료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.
사용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.
- 부산대 맞춤법 검사기 사이트 접속: 부산대학교 맞춤법 검사기 웹사이트에 접속합니다.
- 문서 입력: 검사하고 싶은 문서를 입력하거나 복사하여 붙여넣습니다.
- 검사 실행: 검사 버튼을 클릭하여 맞춤법 검사를 실행합니다.
장점: 비상업적 용도로 무료 사용 가능
단점: 상업적 용도로는 사용 불가